티스토리 뷰
IP전문가가 되기 위해 2달간 공부할 학습목표를 세웠당ㅋ (과연 나는 공부를 할까???? no...)
1. TCP/IP (1주차~3주차)
1) Network Access - MTU, 오류제어
2) 이더넷의 종류 - UTP, 동축케이블, 광케이블 파장
3) IP - IP헤더, IP패킷, 패킷사이즈, ICMP, IP주소, 서브넷, CIDR/VLSM, IPv4, IPv6, NAT
4) TCP - TCP헤더, 포트번호
5) UDP - UDP헤더
6) DHCP - 필드, IP할당과정
7) DNS - 도메인 계위, 명령어, unicast, anycast
8) ARP - packet option, arp 종류
2. 스위칭 (1주차~3주차)
1) 스위칭 - flooding, 스위치 기능
2) STP - 예시, BPDU, 상태, RP, DP, ring topology
3) VLAN - broadcast domain
4) QOS - dscp
5) VRRP
6) LAN Security
7) IGMP - IGMP Proxy, IGMP Snooping, Fast-leave
3. 라우팅 (4주차~6주차)
1) Default/Static Routing
2) Route Redistribution/Summarization
3) Policy-Based Routing/Filter-Based Forwarding
4) OSPF
5) BGP
6) IP Multicast Routing
7) MPLS
4. 패킷전송 (7주차~8주차)
1) "Ethernet, IP, MPLS" VS "SONET/SDH, MSPP" VS "PTN"
2) Carrier Ethernet
3) Packet-Optic Transport(MPLS-TP, PBB-TE)
'IT·통신이야기 > 정보통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TCP/IP] 3. 인터넷 계층의 모든 것(1): IP프로토콜, IP패킷, IP헤더의 구조 (1) | 2016.02.21 |
---|---|
[TCP/IP] 2. 가장 널리 보급된 데이터링크인 이더넷, 1000BASE-T의 의미는? (0) | 2016.02.14 |
[TCP/IP] 1. 네트워크 접근 계층, 그리고 데이터링크층과 MTU (0) | 2016.02.14 |
[정보통신기술사/기출/107회][광통신] NZ-DSF(Non-Zero Dispersion Shift Fiber)란? (0) | 2016.02.03 |
[정보통신기술사/기출/107회][인터넷,TCP/IP] OSI 7계층이란? (0) | 2016.01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