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CP/IP Protocol Suite의 계층구조는 앞서 얘기한 것처럼 OSI 7계층 모델과는 정확하게 맞아 떨어지지 않는다. OSI는 프로토콜의 기능에, TCP/IP는 이를 어떻게 프로그래밍할지(적용시킬지)에 집중했기 때문이다. 예를 들면 OSI에서는 세션/표현/응용과 같이 역할별로 계층을 나누었지만 TCP/IP에서는 대화제어/동기화/암호화 등이 하나의 Application으로 동작해 불필요한 개발시간을 줄임으로써 효율이 높아진다. TCP/IP의 인터넷 계층에는 Host 주소를 지정하는 IP 프로토콜, 주소를 변환하는 ARP/RARP, 신뢰성 없는 IP를 대신하여 네트워크의 상태를 알리는 ICMP, 멀티캐스트 프로토콜인 IGMP, 라우팅 프로토콜인 BGP/OSPF 등이 있다. 전송계층에는 상대가 있어야..
IT·통신이야기/정보통신
2016. 8. 8. 23:2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