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장에서 다룬 네트워크 접근 계층(Network Access Layer)의 상위계층인 인터넷 계층에 관한 이야기이다. 전장에서 네트워크 접근 계층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층과 하드웨어로 구분되고,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층은 곧 OS와 하드웨어를 잇는 "디바이스 드라이버"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았다. 쉽게 말하면 "랜선(정확히는 UTP-RJ45잭)을 PC에 꼽으면 통신 가능한 환경이 갖추어지는 것"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층의 역할이다. (가만히 생각하면 OSI 7계층에서 복잡하게 정의한 것과는 분명 차이가 있다.) 그 상위계층인 인터넷 계층과 전송 계층의 기능은 일반적으로 host의 OS(Operating System)에 내장되어 있는데, 인터넷 계층이 최종 목적지까지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한다면, 전송 계층은 어플..
IT·통신이야기/정보통신
2016. 2. 21. 16:48